사회초년생 적금, 예금, 저축 필요성, 이자 비교 분석 (적금 추천)

적금, 예금, 투자 필요성

사회초년생 때 시작하는 재무설계는 기초공사와 같다. 인생 전반에 걸쳐 필요한 “목돈”은 오랜기간 저축과 투자를 지속해야 마련할 수 있다.

그래서 저축과 투자가 중요하다.

1. 예금과 적금

적금, 예금 비교분석

예금이란 목돈을 일정기간 특정 계좌에 넣어두고 만기일에 원금과 이자를 받는 저축상품이다. 정기예금이라고도 하고, 이미 가지고 있는 목돈을 굴리기 좋다.

하지만 중간에 추가로 돈은 넣거나 빼지 못하기 때문에 해지 할 가능성이 있다면 여러개로 나눠 가입하는 것이 좋다.

적금은 정해진 기간동안 일정금액을 저금해, 만기 때 원금과 이자를 받는 저축 상품이다. 적금은 아래 두가지 종류가 있다.

  • 정기적금 : 한 달에 한 번 정해진 날짜에 일정한 금액 저축
  • 자유적금 : 한 달에 납입 할 수 있는 횟수, 금액 제한 없이 자유롭게 저축

2. 적금 가입 시 체크리스트

2-1) 저축 한도 확인

월 최대 납부 금액을 확인해야한다. 저금 할 수 있는 금액이 낮은면 이자 소득이 크지 않다. 금리도, 기본금리에 우대금리가 있으므로 확인해야 한다. 우대금이가 있을 때 저축 한도가 낮은 경우가 있다.

2-2) 적금 가입 기간 확인

적금 가입기간이 길 수록 은행은 고객의 돈을 더 오래보관하기 때문에 금리가 높다. 하지만 금리가 점점 오르는 시기에는 적금 가입기간이 짧으면 좋다. 기준금리가 올라 더 좋은 조건의 적금 상품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2-3) 중도 해지 이율 확인

중도에 적금을 해지한다면 원금은 돌려받을 수 있지만, 약속 된 이자는 다 받을 수는 없다. 계약할 때보다 낮은 중도 해지 금리가 적용된다. 그래서 중도해지 할 때 이율을 확인하는게 좋다.

2-4) 우대금리 조건 확인

높은 금리상품이라해도, 조건이 다 맞지 않을 수도 있다. 내가 실제로 받을 수 있는 금리를 확인해야 한다. 신용카드발급, 신규 계좌 개설, 실적, 급여 자동이체 등 조건을 확인해야한다.

3. 예금과 적금의 이자

적금, 예금 이자 계산 방법

이자는 돈은 은행에 맡기 기간과 원금에 비례하여 계산한다. 같은 금리의 상품도 예금이냐 적금이냐에 따라 이자가 다르다.

예를 들어 120만원을 금리 5%로 기간은 1년인 상품을 가입했다고 가정해보자.

예금은 120만원 원금에 이자 6만원으로 126만원이다.
반면 적금은 120만원 원금에 이자는 3만2,500원으로 123만2,500원이다.

적금은 10만원씩 입금하기 때문에 처음 납입한 10만원에 대해만 5%을 받는다. 거치 기간이 그만큼 중요하다.

여기서 중요 포인트는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예금, 적금 금리라는 점이다.
예금은 뭉칫돈을 넣어두는 것이고, 적금은 조금씩 돈을 넣는 것이다. 은행이 어떤 돈이 더 필요한지에 따라 이자를 더 높게 친다.

대출 수요가 많아지면 예금이자가 높다. 은행에도 뭉칫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예금이 들어오면 그 돈으로 고객에게 대출을 해줄 수 있다. 그래서 예금이자를 높여 뭉칫돈을 끌어온다.

반대로 대출받는 사람이 적으면 적금 금리가 높다. 은행 입장에서는 적금 금리를 높여 새로운 고객을 만드는 것이 더 좋기 때문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