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회사는 삼성전자인데 주가는 5~7만원정도 한다. 그런데 농심의 주가는 30만원정도 한다. 투자 초보 입장에서는 왜 가격이 더 저렴하기? 농심이 더 큰가? 라는 질문이 따라오기도 한다.
(사실 “시가총액”을 보면 된다. 왜 주가가 다른지는 더 살펴보자)
또한 주식 뉴스를 보다 보면 “삼성전자, 액면분할 결정” 혹은 “OO기업 액면병합 공시” 와 같은 글을 보게 된다.
도대체 ‘액면’은 뭘까? 왜 주식을 쪼개고, 어떤 회사는 주식을 합칠까? 액면 분할과, 액면 병합에 대해 알아보자.
1. 액면이란?

액면가란 주식이나 채권에 표시되는 표면적인 가격을 가리킨다.
한자로는 額面價(이마 액, 낯 면, 값 가)로 쓰인다. 본 뜻 대로 해석하면 ‘이마와 얼굴’이 된다. 겉으로 보이는 나이를 말하기도 한다. 나이에 비해 얼굴이 젊어 보이면 ‘액면가가 낮다’고 표현한다.
주식에서 액면가는 한 주의 명목상 가격이다. 대부분 주당 500원 또는 100원으로 정해져 있다. (액면가는 회계상 기준이다. 투자수익과 관련이 없음)
2. 액면분할

2-1) 액면분할 뜻과 개념
한 주의 액면가를 더 작게 나눠서 주식의 수를 늘리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액면가 5,000원의 주식 1주를 액면가 500원으로 나누면 총 10 주로 쪼개진다.
총 금액은 동일하다.
2-2) 액면분할 목적과 효과
기업은 왜 주식을 쪼개는 걸까? 주요 목적은 주가를 낮춰 투자 접근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삼성전자는 액면분할 전에 1주에 250만원이었지만 액면분할 후에 5만원 수준이 되어 누구나 거래 할 수 있게 되었다.
소액 투자자가 유입되어 거래량이 증가되고 유동성이 확보 된다.
3. 액면병합

3-1) 액면병합 뜻과 개념
액면병합은 액면분할과 정반대의 뜻을 가진다. 여러주를 합쳐서 한 주로 만들어 액면가를 키우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액면가 500원짜리 10주를 액면가 5,000원으로 바꾸면 총 1주로 병합된다.
3-2) 액면병합 목적과 효과
너무 낮은 주가를 높여서 신뢰성을 회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장폐지 기준을 회피 하려는 목적이 있다.(1,000원 미만 저가주 정리 목적) 예전엔 악재로 해석했지만 최근엔 이미지 개선을 위한 전략으로도 사용된다.
4. 액면분할/액면병합 사례, 액면가 주의사항

4-1) 액면분할 사례
삼성전자는 2018년 액면가 5,000원짜리 주식이 주단 260만원을 넘어서자. 50분의 1비율로 주식을 분할 했다. 이에 따라 액면가는 100원으로 줄었고,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시가는 5만원대로 낮아 졌다.
4-2) 투자자 유의사항
투자자들이 중요하게 봐야할 점은 1주의 가격보다. 시가총액이다. 시가총액이 클 수록 회사의 가치가 높다고 본다.
시가총액이 큰 주식을 대형주라고 한다. 투자하는 사람이 많아 10%이상 출렁거리지 않는다. 낙폭도 비교적 작아 안정적인 투자를 원하면 대형주를 보는게 좋다.(* 자본금이 750억원을 넘으면 대형주로 분류하고, 이외의 기업은 중소형주로 통칭한다.)
참고로 코스피 시가총액 1위는 삼성전자 425조, 2위는 SK하이닉스 94조 이다.
액면분할/액면병합 모두 표면상 숫자는 달라지지만, 기업의 가치에 변화는 없다. 다만 투자 심리와 시장 반응에 영향을 주므로 대응하는 습관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