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와 코스닥 개념과 지수, 전망, 차이점 정리

코스피, 코스닥 개념 및 지수, 전망 차이점 정리

주식을 하려면 기본적인 지식은 있어야 한다. 대한민국에는 코스닥시장, 코스피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들(주식회사)가 있는데, 코스닥, 코스피은 무엇을 의미할까? 코스닥, 코스피 시장, 지수의 의미,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1. 코스피 뜻

코스피 개념(뜻) 한국 종합 주가 지수

코스피(KOSPI)는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의 줄임말이다. 대한민국의 대표 주식 시장이고,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대기업 주식이 상장 된 시장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코스피 시장의 정식 명칭은 유가증권시장이다. 매출과 영업이익 등 까다로운 조건을 통과한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삼성전자,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SK하이닉스 등이 있다.

코스피 지수란 1980년 1월 4일 기준(100포인트)로 시작한 지수를 말한다. 지금은 2,000~2,500포인트를 오르내리고 있다.

2024년 2월 기준 코스피 시장 시가총액은 2,182 조원에 이른다.


2. 코스닥 뜻

코스닥 개념(뜻), 중소형 성장주 위주 상장 시장

코스닥(KOSDAQ)은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의 약자이다. 미국의 나스닥(NASDAQ)처럼 벤처, 중소형 성장주들이 상장된 시장이다.

코스피 기준에 맞지는 않았지만 성장성을 인정 받은 기업을 활성화 하기 위한 시장이다.

대표적으로 바이오 기업(셀트리온 등), 게임/콘텐츠 기업, IT부품, 2차전지 관련 기업 등이 있다.

코스닥 지수란 1996년 7월 1일 기준(100포인트)으로 시작한 지수이다. 중소형 기업이 많아 변동성이 크고, 급등락이 자주 일어나는 특징이 있다.

2024년 2월 기준 코스닥 시장 시가총액은 404 조원에 이른다.


3. 코스닥, 코스피 지수의 의미, 꿀팁

코스피, 코스닥 전망, 꿀팁

지수는 시장 전체의 평균적인 분위기를 표현한 것이다. 뉴스에서 코스닥/코스피가 올랐다 내렸다. 하는 표현은 코스닥/코스피 지수를 뜻한다.

주식시장은 몇 천 개 회사의 주가가 오르락내리락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흐름을 쉽게 파악하기 위해 시장 전체 가격을 숫자로 표현한 것이 지수이다.

코스피 지수가 상승하면 대형주들이 상승했다는 뜻이고, 코스닥 지수가 상승했다는 것은 중소형 성장주가 강세를 보이는 뜻이다.

지수를 통해 시장의 분위기, 경기 흐름, 투자 심리를 파악 할 수 있다.

반면 지수만 보고 시장을 판단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 업종 별 흐름이 또 다르기 때문에 업종별 분석도 필요하다.

지수의 심리적 지지선 이해도 필요하다. 예를들어 “코스피 2,500p/코스닥 800p”는 투자 심리가 모이는 구간이다. 이런 이해도가 필요하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