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과 투자 비율(적금 vs 투자), 투자 포트폴리오

저축, 투자 비율(투자포트폴리오 방법)

재테크 포트폴리오란 무엇인가?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는 것은 위험을 줄이고, 수익을 늘리기 위해 여러가지 상품을 기간, 지역별 분산 투자하는 것을 뜻한다.

저축과 투자 비율은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좋은가?


1. 100-나이 원칙

100-나이 원칙(투자 포트폴리오)

100-나이 원칙이란 무엇인가? 말그대로다 쉽다. 나이만큼의 비율(%)은 저축을 하고, (100-나이) 만큼 비율(%)은 투자를 하는 것이다.

소득에서 필수 지출을 뺀 금액을 재테크에 활용 할 수 있는 예산이라고 하자. (300만원 소득 중 200만원 필수 지출 시 100만원 재테크 활용 예산)

그 예산에서 나이만큼 비율은 저축, (100-나이) 만큼 비율은 투자이다.

젊을 수록 더 투자하는 말과 같다.

예를 들어보자.

30세 A씨가 매달 재테크 활용 자금이 100만원이라고 가정하면 30%인 30만원은 예/적금으로, 70%인 70만원은 주식, 펀드, ELS 등 투자에 활용하는 것이다.

65세 B씨가 1억원의 자산을 운용하는 경우라면 65%인 6,500만원은 저축, 35%인 3,500만원은 투자자산으로 분류하면 된다.

비교적 위험을 견딜 수 있는 젊은 나이에 투자 비율을 높이고, 은퇴를 대비하는 나이에는 안전한 저축위주로 계획하는 방법이다.


2. 저축 자산을 나누는 방법

저축, 투자 비율 나누는 방법

저축과 투자로 비율을 나누고, 저축 안에서도 비율을 나눌 수 있다. 기간에 따라 나누면 된다.

초단기 사용 목적으로 절반을 떼어 비상금으로 관리하고, 나머지 반은 길지 않은 만기의 적금 상품에 가입하면 좋다.(1~3년 정도 적금 상품)


3. 투자 자산을 나누는 방법

투자자산 역시 기간에 따라 나눌 수 있다. 기간에 따라 투자 방법은 다르다.

3~5년 중기 목표를 위한 투자는 50% 정도
이 돈은 적립식 펀드에 넣어두기 적당하다. 정액분할투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년 이상의 장기 목표를 위한 투자도 절반(50%)
긴 기간 유지할 수록 혜택이 커지는 복리 효과를 가지는 상품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장기 저축성 보험 등이 있다.

Leave a Comment